2025년 들어 국내 가계대출은 다양한 변화를 보이고 있습니다. 1월에는 감소세를 보였으나, 2월에는 다시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냈습니다. 정부는 이러한 가계부채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관리 방안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1. 2025년 1월 가계대출 동향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2025년 1월 중 전 금융권 가계대출은 총 0.9조 원 감소하여 전월(+2.0조 원) 대비 감소세로 전환되었습니다. 주택담보대출은 3.3조 원 증가하여 전월(+3.4조 원) 대비 증가폭이 소폭 축소되었으며, 기타대출은 4.2조 원 감소하여 전월(△1.4조 원) 대비 감소폭이 확대되었습니다
2. 2025년 2월 가계 대출증가
그러나 2월에는 가계대출이 약 5조 원 증가하여 4년 만에 최대 폭의 증가를 보였습니다. 이는 추가적인 금리 인하 기대감과 수도권과 지방 부동산 시장의 양극화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됩니다.
3. 정부의 가계부채 관리 방안
정부는 가계부채 증가세 확대 전망 등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자 2025년도 가계부채 관리방안을 발표하였습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가계부채 증가율 관리: 2025년도 가계부채 증가율을 경상성장률(3.8%) 이내로 철저하게 관리하여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계획입니다.
- 스트레스 DSR 도입: 금리 인하에 따른 가계부채 증가세 확대 전망 등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자 3단계 스트레스 DSR을 7월부터 시행할 예정이며, 구체적인 적용 범위와 내용을 마련 중입니다.
- 정책대출 유지: 서민·어려운 계층과 실수요자에 대한 금융 이용에 애로가 없도록 약 60조 원 규모의 정책대출은 유지할 계획입니다.
4. 향후 전망
정부는 가계부채 증가세를 안정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그러나 금리 인하 기대감과 부동산 시장의 변화 등 외부 요인에 따라 가계대출 추이는 변동될 수 있으므로, 개인과 기업 모두 신중한 금융 관리가 필요합니다.
2025년 가계대출 동향과 정부의 관리 방안을 주시하며, 안정적인 금융 환경 조성을 위해 노력해야 할 시점입니다.
한국, 하반기부터 가계대출 규제 강화 예정